카이스트(한국과학기술연구원) 김일두·홍재민 박사 연구팀은 8일 “전기신호를 축적하거나 보내는 데 쓸 수 있는 플라스틱 절연막 코팅 소재를 미국의 MIT공대 연구팀과 함께 개발했으며, 이 소재로 종이처럼 얇고 휘는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”고 밝혔다. 트랜지스터란 각종 전기신호들을 증폭시키는 반도체 핵심부품으로, ‘휘는 트랜지스터’는 손이나 팔등에 감는 휴대전화나 입는 컴퓨터 같은 ‘휘는 전자기기’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13_5_1_5_blog100800_attach_0_60.jpg?original)
이번 기술의 특징은 상당량의 전기신호를 축적하기도 하고, 빠르게 보내는 절연막 신소재를 얇고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에 코팅하는 방식으로, 상온에서도 플라스틱 트랜지스터를 제작 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라고~